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정보보안 취업
- csts범위
- 정보보호 취업
- CPU 스케줄링
- CSTS
- csts출제기준
- 정보보안기사 후기
- 솔루션 개발
- 정보보안기사 실기
- csts일반등급
- csts 일반등급 후기
- 정보보안전문가
- 정보보안기사
- csts요약
- 디스크 스케줄링
- 보안솔루션 운영
- 모의해킹
- 케이쉴드주니어
- csts기출
- csts기출문제
- csts요약본
- k-shield 주니어 14기
- 정보보안 컨설팅
- 케이쉴드주니어 13기
- csts 일반등급
- 케이쉴드주니어 14기
- k-shield
- csts 후기
- 파일 시스템
- ISMS-P
- Today
- Total
CyberRanger
보안 도구, 공격 도구, 악성코드, 바이러스 본문
1. 보안 도구
1.1. Tripwire
· 리눅스 시스템 무결성 점검 도구.
· 오픈소스 기반의 HIDS(Host-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, 호스트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)
· 백도어, 설정 파일의 변경 탐지.
1.2. Nessus
· Tenable 사의 취약점 검사 수행.
· GUI 기반.
· 모든 OS 및 장비에 대한 취약점 정보 제공.
· 취약점 결과를 pdf, txt, html 등으로 저장 가능.
1.3. Nikto
· 오픈소스 웹 취약점 점검 도구
· 웹 서버, 웹 응용프로그램 취약점 점검.
· 취약한 CGI 파일 스캔.
* CGI(Common Gateway Interface, 공용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): 웹 서버에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토콜
1.4. Rootkit
· 지속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숨기면서 관리자 권한 획득 및 백도어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와 프로그램의 집합
1.5. COPS
· 시스템 보안 감시활동 자동화 프로그램.
· UNIX/LINUX 에서 동작.
· 취약한 패스워드, setuid 파일, /etc/rc*, /etc/rc*.d, cron 파일, 권한 점검
1.6. SAINT
· 원격 취약점 점검도구
· HTML 형식으로 보고 가능.
1.7. SARA
· SATAN을 기반으로 개발된 취약점 분석도구.
· 네트워크의 컴퓨터, 서버, 라우터, IDS에 대한 취약점 분석.
· HTML 형식으로 보고 가능.
2. 공격 도구
2.1. 패스워드 크래킹 도구
· John the ripper
· L0phtcrack
· pwdump
· hydra
* crunch: 사전파일 생성 프로그램
2.2. 스니핑 도구
· wireshark
· tcpdump
2.3. 기타 도구
· Web Proxy(Burpsuite): 웹서버를 무작위 공격하거나, 웹브라우저의 입력을 변조할 수 있는 도구.
3. 악성코드(Malware), 바이러스(Virus)
악성코드: 악의적인(Malicious) 행위를 하기 위해 제작된 프로그램(Software) 및 구성요소들을 총칭하는 단어.
해외에서는 악성 코드(Malicious Code)보다는 악성 프로그램(Malicious Software)라는 용어가 더 흔하게 사용됨.
Malicious + Software = Malware
바이러스는 악성코드의 한 분류이다.
3.1. 악성코드의 분류
· 바이러스(Virus)
- 정상파일을 감염시켜 실행되며, 감염 대상이 없을 경우 실행되지 않음.
- 감염 파일에서 다른 정상파일로의 자기 복제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,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파되지는 않음.
- 바이러스는 감염시키는 방식 및 위치에 따라 부트바이러스, 파일바이러스, 메모리 상주 바이러스, 매크로 바이러스 등으로 나뉨.
· 웜(Worm)
- 감염 대상이 존재하지 않아도 스스로 실행됨. 자가복제 및 네트워크를 통한 전파 가능.
· 트로이목마(Trojan)
- 정상 파일로 위장(삽입)하여 실행되는 것이 특징.
- 설치를 유도한 후, 사용자 pc에 있는 정보를 유출.
- 자가복제를 하지 않음.
· 백도어(Backdoor)
- 시스템 관리자가 열어놓은 시스템의 구멍.
- 해커가 이미 장악한 PC의 다음 침입을 쉽게 하기 위해, 사용자가 모르는 침입 루트를 뚫어 놓은 것.
· 애드웨어(Adware)
- 광고 프로그램.
- 악의적인 행위는 하지 않지만, 불편함을 줌.
· 악성 봇(Malicious Bot)
- 스스로 실행되지 못하고, 해커의 명령에 의해 원격 제어되는 프로그램.
- 스팸 메일 전송, DDoS 공격에 이용됨.
- 악성 봇에 감염된 PC는 좀비PC.
'정보보안기사 > 시스템 보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 보안] TCP Wrapper - 리눅스 방화벽 (0) | 2024.08.05 |
---|---|
[Linux 보안] iptables - 리눅스 방화벽 (0) | 2024.08.05 |
[Linux 보안] 리눅스 계정 관리 (0) | 2024.08.05 |
[Linux 보안] 리눅스 PAM 모듈(리눅스 인증 모듈) (0) | 2024.08.05 |
[Linux 보안] cron, crontab (0) | 2024.08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