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보안기사/정보보안 일반
[정보보안기사] PKI(Public Key Infrastructure) 구조
CyberRanger
2024. 8. 9. 20:48
1. 개요
PKI는 공인인증의 구조를 말한다. 공인인증서(X.509, ITU-T표준)을 통해서 인증을 받는 구조이다.
공인인증서 발급 시 인증기관(CA)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를 발급받는다.
인증기관(CA)은 사용자 신원을 확인하고 인증서를 발급해 주는 구조이다. 하지만 사용자가 너무 많기 때문에 사용자 신원확인을 대행해 주는 기관이 필요했고 그 기관이 등록기관(RA)이다.
즉, 등록기관(RA)이 신원확인을 하고 인증기관(CA)이 공인인증서를 발급해 준다.
공인인증서가 발급되면 인증기관은 인증서 폐기 목록(CRL)을 관리해서 인증서의 유효성을 확인한다.
PKI 목적
목적 | 주요 내용 | 요소 기술 |
인증 | 사용자에 대한 확인, 검증(공개키 인증) | Certificate |
기밀성 | 송수신 정보에 대한 암호화 | 암호화, 복호화 |
무결성 | 송수신 정보의 위/변조 방지 | 해시함수(MD) |
부인봉쇄 | 송수신 사실에 대한 부인방지 | 전자서명 |
접근 제어 | 허가된 수신자만 정보에 접근 가능 | DAC, MAC. RBAC |
키 관리 | 공개키 발급, 등록, 관리, 폐기 | - |
2. 구성
구성 요소 | 주요 기능 |
인증기관(CA) Certification Authority |
· 인증 정책 수립, 인증서 및 인증서 폐기 목록 관리(생성, 공개, 취소, 재발급) · 공개키 인증서를 자신의 개인키로 서명 · 공개키와 개인키 쌍의소유자 신분 증명 · 다른 CA와 상호 인증 · 인증서 폐기 목록(CRL) 등록 및 인증 절차 작성 |
등록기관(RA) Registration Authority |
· 사용자 신원 확인, 인증서 요구 승인, CA에 인증서 발급 요청 |
인증서 폐기 목록(CRL) (Certificate Revocation List) |
· 인증서의 지속적인 유효함을 점검하는 도구 · 폐지 사유: 디지털 서명의 개인키 노출, 인증서가 필요 없을 경우, 개인키 분실, 인증서 효력 정지 등 · OCSP: 인증서 상태에 관한 정보 초회 또는 CRL 검색 프로토콜 |
Directory | · 인증서, 암호키에 대한 저장, 관리, 검색 등의 기능, PKI 관련 정보 공개 · 디렉터리 표준형식으로는 X.500(DAP, Directory Access Protocol)과 이것을 경량화시킨 LDAP(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)이 있음. |
CPS (Certification Practice Statement) |
· 인증서 실무 준칙 문서 · PKI를 구현하기 위한 절차를 상세히 설명해 놓은 문서로 CA의 운영을 통제하는 상세한 일련의 규정. · 인증 정책, 인증 절차, 비밀키 관리 절차 등을 포함 · 모든 사용자에게 반드시 공개해야 함(홈페이지 게시) |
X.509 | · X.500 디렉터리 서비스에서 서로 간의 인증을 위해 개발된 것. · CA에서 발행하는 인증서를 기반으로 하는 공개키 인증서 표준 포맷. · 공개키 인증서의 표준 포맷: 발행자, 소유자, 소유자의 공개키, 유효기간, 고유번호, 알고리즘 · 사용자의 신원과 키 정보를 서로 결합한다는 것을 의미. |
* 인증기관 간의 상호인증을 위한 OCSP(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)